영어에서는 우리나라말과는 달리 수일치를 해주어야합니다. 주어가 단수형인지 복수형인지에 따라서 뒤에 따르는 동사의 형태를 맞추어주는것을 수일치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그에 대하여 간단한것에서부터 다소 어려운부분 순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수 동사와 복수 동사>


- The boy has many toys. 소년은 많은 장난감들을 가지고 있다.

- The children have many toys. 아이들은 많은 장난감들을 가지고 있다.


 단수형 동사는 기본형에다가 es나 s를 붙이고 복수형 동사는 기본형을 그대로 사용하시면은 됩니다. 위의 문장에서처럼 has나 have처럼 불규칙적인것들은 그들만의 방식을 따라주면은 됩니다. has와 have의 경우는 전자가 기본형으로 단수이고 후자가 복수형입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는 일치>


- A man eats. 남자가 먹는다.

- men eat. 남자들이 먹는다.


 수일치문장의 간단한 예를 들자면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처음에 문장에서는 주어가 a man으로 단수입니다. 고로 그 뒤에는 단수동사인 eats가 들어가구요. 두번째 문장에 주어는 men으로 복수형입니다. 따라서 동사도 복수 동사인 eat이 들어갔습니다. 이런것처럼 수적으로 일치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 단수 가산명사 : an apple, a manager, an employee, a client...

- 복수 가산명사 : apples, people, goods, clients, plans, savings...

- 불가산 명사 : money, cash, time, equipment, furniture, information...


 가산명사는 수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an apple이나 apples처럼 한개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수들의 차이를 단어를 보면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불가산명사는 수적개념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한개 두개 이렇게 셀 수 없는 time같은 추상적인 명사들의 경우가 불가산명사입니다. 한국어의 입장에서 보았을때는 약간 이해가 불가한부분이지만은 그렇습니다. 토익이나 기타문제들에서 자주 나오는 money나 cash가 대표적인 예시가되는 단어들인데 한장, 두장 이렇게 셀 수 있다고 하면은 할 말이 없지만은 돈을 얼마인지만을 말하지 몇장인지는 말하지 않는것으로 이해하시면은 속이 편하실겁니다. 그리고 앞서 말한 time의 경우도 보통 일반적인 시간의 개념으로는 불가산으로 취급하나 구체적인 개념으로 볼시에는 times를 쓰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은 There are many times when I don't want to do anything처럼 구체적인 때들의 개념을 나타내거나 할 때에는 times를 쓰기도 합니다. 


 이제 여기서 단수 주어로 취급되는것이 단수 가산명사와 불가산 명사들이구요. 복수 주어로 취급당하는것들이 복수 가산 명사입니다. 말이 어렵지요? 그냥 예시들을 보시면은 쉽게 차이를 아실겁니다. 아쉽게도 단가산과 복가산은 쉽게 이해가 가지만은 불가산명사들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는 알고 계셔야합니다. 위의 명사들이 토익에 자주 모습을 보이는 명사들입니다.


<끝에 s가 붙는 복수형이나 단수로서 취급받는 명사>


- 고유 명사 : the Unitied States of America, the Philippine Islands...

- 기타 명사 : news...

- 학문 명사 : mathematics, statistics...


 딱봐도 news나 mathematics들은 생긴것이 꼭 복수형의 명사들인데도 얘네들이 주어로 올 때에는 단수로 취급을 받으므로 뒤에 단수형 동사를 붙여줌으로 수일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고유명사와 학문의 이름들을 나타낸 명사들은 그 자체들이 모여서 하나로 보기때문입니다. news는 north, east, west, south 이렇게 4가지의 앞머리 스펠링을 따서 조합하여 만든말로 생긴것만 복수지 사실은 각각의 다른 스펠들의 조합입니다.



<동명사구나 명사절>


- Breaking a bicycle makes me angry. 자전거를 부수는것은 나를 화나게 한다.

- What I did is just for you. 내가 한것은 단지 너를 위한거다.


 한가지 단어들만이 주어로 오는경우도 있지만은 동명사구나 명사절이 주어로 오는 경우들도 예문들처럼 허다합니다. 얘네들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냥 단수취급해주시면은 됩니다. 뒤에 동사도 단수 동사가 오게끔하여 수일치를 시켜주시면은 되겠습니다.


<수량표현>


- 단수취급하는 수량표현 : one, each, every, somebody, anybody, everything, no one, the number of.....

- 복수취급하는 수량표현 : many of, a couple of, a number of...


 간단하게 단수취급되는 수량표현에는 단수동사를 붙여주시면은 되구요. 복수취급되는 수량표현에는 복수동사를 넣어 수일치를 해주면은 됩니다. 단수취급되는 수량표현은 이해가 가는데 복수는 몇개는 다소 헷갈릴 수 있는데요. a couple of는 한쌍이니 여러개일것이고 a number of는 많은 수를 뜻하기에 그렇습니다.


<부분이나 천체의 표현>


- all, most, any, some, percent, the rest.... + of + (단수명사 + 단수동사) or (복수명사 + 복수동사)


 부분 또는 전체를 타나내는것들이 주어로 오게되면은 of 뒤에 오는 경우는 어떻할까요? 그냥 of 뒤에 명사에 동사를 수일치해주면은 됩니다. 간단합니다.


<접속사로 연결된 주어>


- You and I are doing this together. 너와 나는 이것을 같이 하고있다.

- Three buckets or a bag is needed to bring those things. 저것들을 옮기려면 방구니 세개나 가방 하나가 필요하다.


 주어가 하나로 끝이 나리라는 법은 없습니다. and나 or처럼 접속사로 이어진 문장들도 정말 많은데요. 이 경우에는 and는 앞의 주어와 뒤의 주어를 둘다 말하기에 복수형으로 보구요. or은 앞이나 뒤의 주어 중 하나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or은 하나에 수일치를 해주어야 하는데요. or은 뒤에 오는 주어에 수일치를 해주시면은 됩니다. 예문에서도 뒤에 a bag이라 is가 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