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은 제2의 심장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듯이 인체에 있어서 중요한 부위입니다. 발이 없으면 걷지도 못 할 뿐더러 몸의 밸런스도 틀어집니다. 이렇게 중요한 발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족저근막염이라는 질환을 앓고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족저근막은 발의 뒤꿈치뼈부터 앞발가락까지를 감싸는 막입니다. 이 족저근막은 생각보다 단단하고 유연하여 발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일을 도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원인>


 족저근막염이란 발의 뒤꿈치뼈에 붙어있는 부위가 과도한 활동으로 발생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그 원인으로 다이어트때문에 발바닥의 지방이 옅어진 상태에서의 움직임과 과체중으로 발에 실리는 무게가 늘어나서 족저근막이 이를 버티지 못하는것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 외 발에 맞지 않는 불편한 신발과 과도한 운동 등 여러가지 발병요인들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원인으로 걷기운동을 필수적으로 포함한 운동들을 들 수 있는데요. 평면이 고르지 않아 여러방면으로 불규칙한 힘을 주어야하는 등산, 계속해서 뛰거나 멈추기를 반복하여 가속된 힘을 발에게 감당하게 하여야하는 축구나 농구, 장시간 뛰어야 하는 마라톤, 족저근막을 고려하지 않은채 운동화를 신지 않고 뛰는 행동과 단단한 지표면에서의 운동 등이 있겠습니다.


 운동 외적인 족저근막염의 원인들로는 발에 강한 무게감을 실어주는 과체중, 딱딱하고 높은 하이힐, 쿠션이 없는 단화, 계단과 같은 장애물을 매일 만나는 택배기사와 같은 직업군, 오랫동안 서서 일하는 직업군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꿀같은 잠을 자고 일어났는데도 아침에 첫발을 내딛었는데 뒤꿈치가 아프다면은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발뒤꿈치에 찌르고 아리는듯한 고통은 족저근막염의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이기 때문이죠. 사람이 걷는데 있어서 보통 제일 먼저 내딛는 부위가 발의 뒤꿈치라서 그 부위에 통증을 제일 많이 느낀다고 합니다. 뭐 어찌하여 다행히 몇시간이 지나고 바깥활동을 하다보면 뒤꿈치에서 오던 아리는듯한 통증이 사라져서 괜찮아질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사실 족저근막염 초기에는 어느정도 걷거나 활동을 하면은 발뒤꿈치의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다음날 잘자고 일어났는데도 또 아픈 경우가 많지요. 이대로 방치한다면은 나중에는 그냥 걷지도 못해 목발을 짚거나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서 화장실을 갈지도 모릅니다. 그러므로 빠른 초동조치가 이루어져야지만이 초기에 족저근막염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걷지도 못할 정도로 심해졌을 때는 병원을 가지 않고는 치료할 수 없는것은 물론이고 족저근막염으로 인한 발전체 및 걸음걸이의 변화로 인한 무릎과 허리등의 통증과 같은 합병증까지 덤으로 얻게 될 것입니다.



<간단한 족저근막염 초기치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만성으로 염증이 심화되었을땐 이미 병원을 가지 않으면 치료가 어려움으로 초기에 의심될 경우에 할만한 족저근막염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초기에 치료방법을 좋은것들로는 제일 간편한 휴식, 바닥이 단단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해서 운동하기, 딱딱하지 않은 유연한 신발로 갈아신기, 얼음찜질, 발뒤꿈치 마사지하기 등이 있겠습니다.


 아직 족저근막염은 걸리지 않았지만 걱정이 되신다면은 스트레칭으로 예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발의 앞부분만 고정하고 발목을 구부리고 폈다를 반복하는 방법과 발을 수건에 걸고 발을 당겨 발바닥을 스트레칭하기, 발뒤꿈치 눌러주기같은 것들이 있답니다.

+ Recent posts